
우리아이는 애정을 듬뿍 줘서 그런일 없을거야 하는 아이들중에 아동 애정결핍일 수 있어요.
그럼 좀더 자세히 알아 볼까요
아동 애정결핍이란 무엇일까요?
영유아 시기와 유소년기에 부모또는 양육자로부터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하고 주변인들과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경험으로 인해 초래되는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말해요
아동 애정결핍 원인
충분한 애착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시기에 사랑받고 싶은 욕구를 충족받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할수 있어요. 부모입장에선 충분히 애정을 줬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요즘 같은 맞벌이 시대에 아이 입장에서는 부모님이 매일 바쁘고, 아이와 놀아주는 시간이 적고, 사랑을 집중해 줬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며 아동 애정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자립심을 빼앗는 경우에도 애정결핍이 생길수 있어요. 하나부터 열까지 부모손에 커온 아이는 다른 사람들도 나에게 모든걸 베풀어 줄 것이라는 착각을 하게 되죠. 특히 의존성이 심한 아이들은 조금만 상대가 화를 내거나 쓴소리를 하면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처를 받기도 해요.

아이가 이런 행동을 한다면(아동 애정결핍 증상)
- 반항 : 정서적 결핍이 있는 아이일수록 주목을 받으려는 경향이 더 강한데요 관심의 한 가운데 있으려고 아이는 부모의 말에 반항하면서 공공장소에서 크게 울거나 생떼를 쓰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하죠
- 공격성 : 아이가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면 아이가 하는 말을 진지하게 들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아이가 사랑받고 있다는 느끼고 근심이나 고민을 털어 놓을수 있거든요.
- 불안증 : 애정 결핍에 목마른 아이중엔 스스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고 해요. 다른사람과 교류가 쉽지않고, 주변 환경에 예민하게 대처하게 되죠. 아이가 의심과 불안이 증폭되 있다면 내 아이게게 무슨일이 생겼다는 신호에요.
- 두려움 : 부모나 양육자에게 원하는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한 아이는 버려질까 두려움을 느낀다고 해요. 아이가 두려움을 느끼는 정도면 애정 결핍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흘렀을 경우가 많아요.
- 손가락을 빤다거나, 자위행위를 하기도 하고,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쉽게 깨기도 해요.손톱을 물어뜯거나 산만하고 감정표현이 서툰경우가 많죠.
극복하기(아동 애정결핍 치료)
부모 입장에서 아동의 행동이 관심의 표현이라는 것을 먼저 인지하시고, 우리 아이가 “관심받고 애정받고 싶구나“로 이해하셔야 되요 정말 중요한 것은 ”누구를 위한 애정인가?” 아이가 원하는 애정을 주었는지, 내가 주고 싶은 애정을 준것인지 한번쯤 고민해 봐야 겠죠.
애정인 듯 포장된 간섭이나 강요의 경우에도 아이들은 애정 같은 강요를 받아들이게 되죠 물론 애정이 충족될수 없겠죠.
아이를 존중하기 :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들어 주고, 아이가 존중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겠죠.
아이의 독립성 인정하기 : 부모들이 아이가 독립적으로 하려할 때 오히려 아이와 분리불안을 느낄수 있다고 해요. 아이가 실패하더라도 조바심 내시지 마시고 믿고 지지하고 기다려 주신다면 아이도 부모도 같이 커 나가실수 있을거에요.
다 내어 줘도 모자른 내아이지만 애정은 내 아이가 원하는 부분을 찾아서 표현해 주시는 것이 좋겠죠.

아동 애정결핍에 대해 알아 봤어요 뭐니 뭐니 해도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최고인거 아시죠.
다른 건강관련 상식이 궁금하시면
다른 내용이 궁금하시면